logo

블로그 바로가기

Slide Construction






Mondrian One,s Life Story ... 1987 ~ 1944




■ 몬드리안 일대기


□ 몬드리안 창작국가 및 작품 정리

몬드리안은 1872년에 네덜란드에서 탄생하여 암스텔담에서 창작을 시작한 일반적인 화가이지만, 그는 1910년 부터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그 당시 파리에서 창작을 하던 인상파 및 입체파 화가들에 영향을 받아, 본격적으로 프랑스 파리에서 1912년부터 1937년까지 컴포지션 작업 및 논문집필 등을 하였고 신조형주의(Neo Plasticism) 기반의 데스틸(De Stijl) 조형이론을 연구합니다. 이후 1938년에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1939년까지 컴포지션 작업 및 논문집필 등의 작업을 하였으며, 제2차세계대전을 계기로 1940년에 미국 뉴욕으로 망명하여 그의 대표작인 빅토리부기우기 등을 창작하였으며 1944년도에 미국 뉴욕에서 사망한 작가입니다. 그의 생애 및 작품들의 현황을 국가 및 연대별로 간략히 정리한 내용과 일대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몬드리안 네덜란드 암스텔담 : 1982~1912년


  1872       년        

 

   1872년 3월 7일, 몬드리안은 네덜란드 작은 시골마을인 에머스폴트(Amersfoort)의 코테그라츠(Kortegracht)에서 태어났습니다.

   태어나면서 칼빈파 신교에서 세례를 받았고 그 교리에 따라 자라났습니다. 그의 아버지가 네덜란드 칼빈파 신학교 교장이였고   

   4남 1녀 중의 장남이었으므로 어려서 부터 종교적인 신앙이 두터웠습니다. 본명은 Pieter Cornelis Mondriaan입니다.

 

 ?    

?

   ?

?

 1886년

 

   몬드리안의 삼촌인 프리츠 몬드리안은 헤이그 풍경화파에 속해 있었습니다.그의 영향을 받아 몬드리안은 14세 때 그림을 

   공부하기  시작하였고, 삼촌과 아버지는 몬드리안을 지도했습니다. 한때는 그의 아버지의 학교에서 그림을 가르쳤습니다.

   그러나 가정환경은 넉넉하지 않아 20대에 생계와 미술공부를 위해 유명작가의 작품을 카피하기도 하였습니다.

 

1892년

 

   몬드리안은 화가가 되기로 결심했지만 가족의 강요에 못 이겨 우선 교육학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중학교에서 그림을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됩니다. 같은 해 교직을 구하는 대신, 당시 가족이 살고 있는 윈테르스웨이크 근교의 작은 마을의 화가에게

   그림을 배웠습니다. 그 후 국립 아카데미에 등록하기 위해 암스테르담으로 갔고 위트레흐트에서 쿤스트리프데라는 미술단체의

   회원이 되었습니다.?

1893년

 

   몬드리안의 첫 번째 전시회가 개최됩니다. 그리고 이후 암스테르담에서 2개의 미술단체에 가입했습니다.

   이 시기에도 그는 여전히 아카데미의 소묘반 야간부에 다니면서 꾸준히 노력하여 교수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습니다.

 

1897년

 

   몬드리안의 2번째 전시회가 개최됩니다. 19세기말까지 몬드리안의 그림은 그 당시 네덜란드에서 유행하던 양식을 따르고 있었습

   니다. 1899년, 몬드리안은 암스테르담의 한 저택 천장에 그림을 그려 달라는 주문을 받았는데, 그는 이 집의 막내아들에게

   경의를 표해 사계절의 알레고리를 표현한 작품을 그렸습니다.

 

1901년

 

   '로마 대상'에 작품을 공모했지만 결선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스페인을 잠시 여행으로 여행을 가게 됩니다.

 

1903년

  

   그는 정물화로 윌링크 반 콜렘 상을 수상하여 명성을 얻게 됩니다. 그리고 벨기에 브라반트에 사는 친구를 방문했는데, 이곳에서

   발견한 시골풍경의 조용한 아름다움은 그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는 이곳에 계속 머물렀고, 이듬해에는 자신의

   예술적 재능을 스스로 발견하고 이곳에서 창작에 몰두하게 됩니다. ?

1905년

 

   암스테르담으로 돌아갈 때쯤, 그의 작품은 달라지게 됩니다. 주로 가인 강 연안에서 그린 암스테르담 주변 풍경은 뚜렷한 율동적

   구조를 보여주며, 통상적으로 그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빛과 그림자의 명도보다는 구성적 구도에 더 치우쳐 있습니다.

   풍차와 농가 및 일련의 나무는 그가 이 시기에 즐겨 다룬 주제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그림은 당시 네덜란드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던 예술의 전통적 테두리 안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1907년

  

   암스테르담에서는 쾨드리에날레가 열렸는데, 이 전시회의 주역은 원색을 대담하게 사용하는 후기인상파 화가들이었습니다.

   형태보다 색채를 선호하는 그들의 취향은 몬드리안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풍경에서 받게 된 자연의 인상을 그려나간

   스케치를 시작으로, 몬드리안은 새로 발견한 색채주의의 가치를 실험하는 일련의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

1908년

 

   몬드리안의 작품에 새로운 중요한 양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색채구성은 표현주의 양식의 영향을 암시해줍니다.

   규모가 크고 활기 넘치는 그림들을 통해 네덜란드 회화의 전통에서 벗어나 당대 유럽 미술의 대열 속에 합류하게 됩니다.    

   네덜란드의 미술가 얀 토로프(Jan Toorop)를 알게 되면서 새로운 표현양식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토로프는 네덜란드에서

   외광파 운동을 주도했고 분할묘법을 옹호했는데, 이것은 빛을 원색의 점이나 짧은 선으로 표현하되 그림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서 가만히 바라보면 병치된 색들이 원색이 아닌 2차색으로 나타나 보이는 기법이었습니다. 몬드리안은 이런 색채 사용법에

   몰두했고, 원색만 사용했습니다. 그러므로 빨간색과 파란색이라는 대조적인 색깔을 조화시키고 나무의 격렬한 움직임과 푸른

   하늘을 조화시켜 일종의 균형감각을 창조함으로써 자신의 자연관을 표현했습니다. 이 균형감각은 그가 자연을 묘사할 때 항상

   추구하는 목표였습니다.

  암스테르담의 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대규모 단체 미술전에 외광파 계열의 작품들을 출품했는데 이것을 계기로 그는 네덜란드 현대

  화가로서 확고한 지위를 굳혔습니다.?

 1909년

 

   몬드리안은 신지학(神智學)협회에 가입하게 됩니다. 이 협회는 우주에 존재하는 삼라만상은 하나의 원천에서 비롯되며 정신과

   물질은  불가분하게 통합되어 있다고 믿고 있었습니다. 그 후 몇 년 동안 몬드리안의 새로운 철학은 자신의 그림에도 반영되었

   습니다. 

 1910년

  

   몬드리안은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성 루카스 전시회에 외광파 계열의 작품들을 출품해 상당한 관심을 끌게 됩니다.

   그는 주로 암스텔담에서 활동하였으며 ‘현대미술 연합 설립’에 관여하게 되고 후에 임원이 됩니다.

   그리고 이시기에 몬드리안의 나무연작시리즈가 창작되기 시작합니다. 이는 몬드리안의 작품이 풍경 및 정물에서 점차

   컴포지션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그러므로 나무연작 시리즈는 몬드리안의 추상 및 과정, 그리고 의미를 제시해주는

   상직적인 작품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

1911년

 

   그는 프랑스 파리에 약 10일간 다녀오게 됩니다. 파리의 앵데팡당 미술전에 자연의 무한함을 표현한 그림 1점을 출품했는데,

   이것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그의 첫 번째 시도였다. 암스텔담 시립 미술관에서 세잔느, 브라크, 피카소의 인상파 및

   입체파의 작품을 접하게 되었고 새로운 장르의 그림에 충격을 받아 프랑스 파리로 가서 새롭게 작업을 할 준비를 하게 됩니다. 

 

 1912년

  

   몬드리안은 네덜란드 암스텔담을 떠나,  그의 나이 40이 되는 1912년에  본격적인 추상활동의 시작으로 파리에 입성하여

   몽마르뜨에 자리잡게 됩니다.

   그러므로 몬드리안의 네덜란드 시절의 작품들은 풍경 및 정물화 위주의 일반 회화작품들이지만, 이후 파리에서 창작된 

    작품들은 컴포지션으로 지칭되는 기하학적 추상으로 전환된 새로운 장르의 작품들입니다.  




□ 몬드리안 프랑스 파리 : 1912~1937년


   년도   


내       용 


   1912년               

  

   파리에 도착하자마자 입체파(Cubism) 양식을 자신에게 맞게 변형하기 시작했고 이는 1912~17년에 걸쳐 계속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그린 나무, 파리 주택들의 정면과 건축용 발판의 구성은 개별적인 형태를 일반적인 도식으로 바꾸어 나타내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몬드리안은 물체의 개별성을 초월한 리얼리티를 표현하고자 형태를 구성요소로 분할하는 분석적 입체파에

   다가갑니다.      

   이해에 잠시 암스텔담에 다녀오기는 하나 그 해에 그는 그의 추상의 시작을 알리는 나무연작 시리즈를 발표합니다.

   그리고 몬드리안이 첫 번째로 컴포지션이라는 작품명을 부여한 작품인 'Composition Tree 1'이 발표됩니다.  

 

1913년

 

   그의 작품은 표현 대상의 함축적 의미를 제거하려는 시도로서의 추상 쪽으로 처음으로 시도되었습니다. 그러나 몬드리안은

   형태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색채를 제한하고, 입체파의 구성체계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구성체계는 타원형 구성작품

   으로 창작됩니다.

   그는 구성요소를 단순화하기 위해 곡선과 대각선을 피하고 차츰 수직선과 수평선만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1913년, 독일 베르린에서 두 작품을 전시합니다. 이 작품들은 그가 점차 추상으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며 현실적 묘사가

   줄어드는 것을 보여 줍니다. 그리고 이해에 미술과 철학에 관 한 내용을 발표하나 책으로 출판하지는 않았습니다. 

 1914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전시회를 가졌고 그의 작품 Composition 1- 16 까지 작품을 헤이그의 미술상에게 보냅니다. 그 해

   여름 몸이 아픈 아버지를 만나러 네덜란드로 돌아갔다가 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파리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었으나 그의

   스튜디오는 계속 유지됩니다. 이시기에 그는 다시 교회 , 등대 , 모래언덕과 바다의 그림을 그리게 됩니다. 이후 1919년까지

   파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네덜란드에서 지내게 됩니다. 이해에 그는 이곳에서 신지학 철학자였던 쇤마커스 박사를 알게 

   되었습니다. 선의 상징적 의미와 우주의 수학적 구성에 대한 쇤마커스의 저서는 몬드리안의 세계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1915년

 

   몬드리안은 반 데스브르그(Van Doesburg)를 만나며 친분을 쌓기 시작하게 됩니다. 몬드리안은 재즈 음악과 춤을 좋아해서 

   근처 호텔 출입이 잦았습니다. 이시기에 몬드리안의 컴포지션의 판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생활에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1916년

 

   이시기에는 많은 작품은 창작되지 않았으나, 그의 그림은 평면과 수직, 수평의 선들로 완전한 추상에 도달하게 됩니다. 

1917년

 

   몬드리안은 네덜란드로 돌아와 데스틸(Destijl) 그룹을 조성 및 정기간행물인 데스틸지를 창간합니다.

   여기에 12회 연재물로 신조형주의 예술(Neo-Plasticism in Art)을 발표하게 됩니다. 이는 추상화가 및 조형가로서 인생에 

   전환점을 맞게 되는 시기입니다.  

1919년

  

   몬드리안은 파리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해부터 본격적인 컴포지션 창작활동이 시작됩니다.

   특히 이해에 마름모형(Lozenge)의 캠버스에 컴포지션 그리드(Composition Grid) 작품을 창작하게 됩니다.  

1920년

  

   데스틸 그룹의 회원이던 반데스부르그가 파리로 오게 되어, 몬드리안은 집필활동과 첫 신조형주의 작품을 완성합니다.

   이후 데스틸 그룹에서 계속되는 신조형주의 작업 과정속에 반데스브르그가 데스틸 이론과 상반되는 ‘사선’의 조형을 추구하게

   되어 몬드리안은 이후 데스틸을 떠나게 됩니다.   

1926년

 

   미국의 부르크린 미술관에서 열린 전시회에 참여함으로 미국 진출이 시작되고 이를 계기로 그림 판매상들과 자연스럽게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파리에 작업실을 개설하여 다양한 컴포지션을 창작하게 됩니다.

?

1927년

  

   처음으로 미국에 그림이 팔리게 됩니다. 이 시기에 몬드리안은 많은 에술가들과의 교류를 갖고 있었습니다.

   이중, 알랙산더 칼더(Alexander Calder)는 몬드리안의 작업실을 방문하여 컴포지션에 감동하여 “몬드리안의 추상을 움직이

   게 하고 싶다!”라고 하여 움직이는 예술, 즉 키네틱아트(Kinetic Art)의 상징인 모빌(Mobile)을 창작하게 되었습니다.

1931년

 

   뉴욕의 특별초대전과 코네티컷주, 메사추세스주 등에서 전시회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추상창조'(抽象創造·Abstraction-Creation) 그룹과 함께 그룹전을 개최하였습니다.  

1932년

  

   미국의 현대 미술관에 몬드리안의 컴포지션 작품들이 전시됩니다. 그 당시의 현대미술계에 커다란 충격을 전해주게 됩니다.

   이를 계기로 몬드리안의 컴포지션은 현대미술계에 기하학적 추상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상징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1933년

 

   그의 60세 생일기념으로 네덜란드의 건축가와 미술가들이 그의 작품을 구입해  헤이그 시립 미술관에 기증하여 추상미술의

   거장인 몬드리안의 탄생을 빛내 주었습니다.

 

1934년

 

   그는 1928년부터 시작된 세계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으로 일이 없어진 화가들을 도와주는 단체에 등록하게 됩니다. 

   여기서 2주에 86프랑을 받아 생활하는 비참한 생활을 맞게 됩니다. 그러나 그 시기에도 왕성한 논문작업과 전시회에 

   참여하는 열정을 보여줍니다. 

1935년

 

   그는 병을 앓게 됩니다. 그림은 거의 그리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아픈 몸으로 원고수정작업에 몰두하고 네덜란드의

   루제른과  미국의 시카고 코네티컷에서 추상전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미국의 친구들을 포함한 주변 친구들에게 많은 작품이

   판매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시기에 작품들은 초기의 컴포지션과는 다른 양상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존에 3원색으로 구성된 면위주의 

   컴포지션은 점차 단순화되어 선위주의 구성으로 변화됩니다. 

1936년

 

   그의 작업실인 파리 스튜디오가 주변 확장공사로 인해 헐리게 될 처지가 되자 낡은 스튜디오로 이사 하게 됩니다. 스튜디오

   공사와 더불어 그는 시카고의 아트 클럽과 영국의 옥스포드와 리버풀에서 전시회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나중에 미국의 뉴욕 현대미술관에 소개되며 결국 미국의 7개 도시를 순회하게 됩니다. 

   이때 미국의 미술상을 만나게 되었고, 몬드리안의 미국 에이전트가 되어  많은 그림이 미국에 판매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937년

  

   몬드리안의 논문들은 유럽 여러 나라의 전문지에 실리게 되었습니다. 이시기에 미국의 뉴욕 타임즈 매거진은 신조형주의가

   추상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주류가 된다고 정의하게 됩니다. 그리고 일본인에 의하여 일본어로 몬드리안의 예술가적 

   평가와 그의 추상세계를 소개하는 책의 프랑스 파리에서 출간되었습니다.

   몬드리안의 프랑스 파리 후기 작품들은 초기의 작품들과는 달리 모던하고 미니멀한 구성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이렇듯 몬드리안은 프랑스 파리에서 약 25년동안 다양한 컴포지션을 창작하였습니다.  




□ 몬드리안 영국 런던 : 1938~1939년



년도

 

 내       용


 1938년 

 

   이해에 몬드리안은 프랑스 파리를 떠나 영국의 런던으로 가게 됩니다. 그러나 국제정세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런던에 오래 

   머물지 못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해에 암스텔담 시립 미술관에서 추상화 전시회를 갖게 됩니다.

   그는 1919년부터 이 해까지 파리에서 많은 추상작업과 논문발표를 통하여 전성기를 보내게 됩니다. 이시기에 많은 친구들과

   교분을 게 되고 새로운 작품방법 기법의 시도 등으로 바쁜 나날을 보냅니다. 그리고 유럽 여러 도시의 미술관에서 열리는 

   많은 전시회에 참여하여 새로운 추상미술의 탄생을 유럽에 알리게 되고 미술계의 주목을 받게 됩니다.

 

1939년

   

   영국이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도 그는 런던 겔러리에서 그리고 미국의 현대미술관에서 전시회를 갖게

   됩니다. 그러나 국제정세가 불안정하고, 런던이 폭격을 당하자 몬드리안은 미국으로 갈 준비를 하게 됩니다.

   나찌즘의 억압속에서 ‘미술과 생활의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이라는 글을 발표하게 됩니다.

  이렇듯 몬드리안은 영국 런던에서 오래 머물러 있지 않았으므로, 런던에서 창작된 컴포지션은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국에서

  창작된 컴포지션은 프랑스 파리의 후기 작품에서 또 다른 변화와 발전을 통하여 새로운 구성을 지니게 됩니다. 





□ 몬드리안 미국 뉴욕 : 1940~1944년 



년도



내      용 



1940년

 

   제2차세계대전을 계기로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하던 다수의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활동무대를 옮기게 됩니다. 

   68세의 몬드리안은 친구인 헬리 홀즈만(Harry  Holtzman)의 도움으로 9월 23일 미국의 뉴욕으로 항해하는 배에 오르게 

   되고,10월 3일에 미국 뉴욕에 도착하게 됩니다. 그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머나먼 타국 땅에서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1941년   

 

   미국의 추상화가 모임에 가입합니다. 이를 계기로 다시 시작된 그의 미국생활에서 그의 추상은 새롭게 변화를 보이게 됩니다.

   표현기법이나 제작방법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합니다. 특이한 변화는 검정색으로 만 구성되던 그의 수평선 및 수직선은

   삼원색의 도입으로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삼원색의 수평선 및 수직선들은 넓이와 색이 다른 테이프를

   사용하여 기존에 창작하였던 컴포지션에 변화를 주기 시작하였습니다.

 

1942년

 

   몬드리안은 뉴욕 사교계에서 활발히 활동하였고 많은 아방가르드 작가들과 친분을 쌓아 가고 개인전도 개최하고 많은

   전시회에 참여합니다. 그는 이해에 그는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고 있었는지 유언장을 작성합니다. 평생 독신으로 살아온

   몬드리안은 그의 유산 상속인을 가족도, 친지도 아닌 헬리 홀즈만으로 지명하였습니다. 홀즈만은 몬드리안이 어려울 때 

   다달이 생활비를 보내 주었었고 미국으로 오기까지 몬드리안에게 많은 도움을 준 절친한 친구였습니다.

   그리고 몬드리안은 그의 대표작으로 인정 받게 되는  뉴욕 시리즈를 준비합니다.

1943년

   

   70세가 된 몬드리안은 그림이 많이 팔리게 되어 경제적 여유가 생겼으므로 넓은 아파트로 이사하게 됩니다. 이시기에 창작한

   작품은 브로드웨이 부기우기는 몬드리안이 추구하던 새로운 공간에 대한 구성이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하여

   몬드리안을 비롯한 수많은 문화예술인들이 프랑스 파리에서 미국의 뉴욕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브로드웨이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화예술도시가 탄생하게 되는 변화의 시기였습니다. 그는 그 당시 세계 최고의 마천루이자 뉴욕의 상징

   이었던 102층 규모의 엠파이에스테이드 빌딩(Empire State Building)의 정상에서 새롭게 수직과 수평구조에 의한 도시계획이

   되어가고 있는 브로드웨이의 공간질서를 추상 및 컴포지션해 나갔습니다.

 

1944년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참이던 이시기에, 몬드리안은 연합군의 승리를 기원하는 작품은 빅토리 부기우기를 계속 수정해 

    나가며 완성해갑니다. 그의 말년 작품이자 대표작으로 기록되고 있는 빅토리부기우기는 일반적인 추상그림이라고

    알고 있으나 그 작품을 직접 보면 그림에 ‘콜라주(Collage)’ 기법’이 적용된 사실을 볼 수 있습니다. 삼원색의 테이프를 

    직사각형으로 작게 잘라 그림에 붙인 것 입니다. 콜라주 기법은 입체파 시절 피카소와 브라크에 의해 발전된 새로운 

    기법이었습니다. 몬드리안은 이 기법을 새롭게 추상화에 도입한 것입니다. 

    그러던 중 감기가 폐렴이 되어 병원에 입원하였으나, 2월 1일 이른 아침에 72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많은 미술계의 작가들과 그를 좋아하던 이들의 애도 속에 세계적인 추상화가 몬드리안은 2월 3일 뉴욕 근방의 

    Cypress Hill 묘지에 잠들게 됩니다.

    몬드리안은 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1945년을 한해 앞두고 세상으로 떠났으며, 세계 인류평화를 위한 연합군의 승리를 

    기원하며 작업하였던 대작인 빅토리부기우기를 끝내 완성하지 못하고, 이를 마지막 유작으로 남기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




□ Mondran paris & London & new York

이렇듯 몬드리안의 컴포지션은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미국 뉴욕에서 창작된 20세기 추상예술입니다. 그러나 21세기의 국제사회에서의 몬드리안 컴포지션은 Modern Art & Design Symbol로 인식 및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계속의 다양한 제품들에 브랜드와 디자인으로 적용 및 활용되고 있습니다.



 


 


MONDRIAN


□ 1872


7 March 1872
Pieter Cornelis Mondriaan born in Amersfoort, The Netherlands.


1892
Joined the Academy of Fine Arts in Amsterdam.


1897
Joined Saint Luke, an artist society that organises annual exhibitions at the Stedelijk Museum in Amsterdam.
Painted traditional portraits, and church and home decors, on commission. Also painted landscapes in a more symbolist vein. Focused in particular on the components that added rhythm to the composition (trees, barriers) and flatness (high horizons to cancel out depth).


1904-1906
Painted mills, ricks and the River Gein. His paintings gravitated towards expressionism and fauvism.


1908
Painted the church, lighthouse, dunes and sea with dividing touches and plain colours.


1909
Spoor, Mondrian and Sluyters retrospective at the Stedelijk Museum in Amsterdam. Joined the Netherlands Theosophical Society.


1911
First stay in Paris. Possibly visited the Salon des Ind?pendants with its room 41, the first big collective milestone of cubism.


1912
Settled in Paris, drew on cubist artists, and painted nudes, still lives and Parisian buildings. The real views vanished behind the crisscrossing geometric lines and monochrome colour touches.


1913
Exhibited at the Salon des Ind?pendants. Guillaume Apollinaire wrote about his “very abstract cubism”.


1914
Moved back to Holland, stayed there until World War I ended.


1915-1916
Met Theo Van Doesburg, theosophical thinker Schoenmaekers and Bart Van der Leck. His paintings are made up of coloured planes or lines forming “pluses and minuses”.


1917
Published a series of articles in the De Stijl Magazine.


1919
Returned to Paris.


1921
Leonce Rosenberg’s L’Effort Moderne gallery published Le Neo-Plasticisme. Principe general de l’equivalence plastique (“Neo Plasticism. The General Principle of Plastic Equivalence”). The first neoplastic paintings: primary-colour or black squares and rectangles arranged into asymmetrical chequered lines. Used planes in an attempt to destroy space and volume, and thereby step beyond visible nature.
Took part in the Les Ma?tres du Cubisme exhibition at the L’Effort Moderne gallery.
Settled at 26, rue du Depart.


1922
Retrospective for his 50th birthday at the Stedelijk Museum in Amsterdam.


1923
Met Michel Seuphor. Took part in the first major De Stijl exhibition, in Berlin.


1924
White backgrounds and black lines gained prominence in his paintings.


1925
Parted ways with Van Doesburg.


1927
Katherine Dreier exhibited his work in the US for the first time. Published an article on “Jazz and Neo-Plasticism”.


1930
Contributed with the Cercle et Carre group exhibition and magazine.


1931
Joined the Abstraction-Creation association.
Van Doesburg died.


1932
Switched to double lines, as an autonomous plastic resource.
Retrospective for his 60th birthday at the Stedelijk Museum in Amsterdam.


1934
Attended a Louis Armstrong concert at Salle Pleyel.


1935
Cubism and Abstract Art exhibition at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1937
Origines et Developpements de l’Art International Independant exhibition at the Jeu de Paume Museum, organised by Christian Zervos.


1940
Moved from Paris to London in 1938, then on to New York. Harry Holtzman, an American painter he had met six years earlier in Paris, helped him to find accommodation and introduced him to Boogie-Woogie.


1941
Exhibited New York City, a series of coloured lines.


1944


1 February 1944
Mondrian died.


□ 1945
Retrospective at the MoMA.


□ 1957
Mondrian, l’Organisation de l’Espace exhibition at the Denise Ren? Gallery in Paris.


1969
Last retrospective in France at the Orangerie, organised by Michel Seuphor.


  


■ Mondrian & DE STIJL



1914
Mondrian returned to Holland. Theo Van Doesburg was drafted and stationed on the Belgian frontier, where he met Evert Rinsema and Antony Kok, two poets.


1915
Van Doesburg’s first article about Mondrian’s work, which he had recently discovered.


1916
Mondrian introduced Van Doesburg to Schoenmaekers, a theosophical thinker.
Van Doesburg met architects Jacobus Johannes Pieter Oud and Jan Wils, and painter Bart Van der Leck, and they started working together, inter alia on stained glass windows and colour for indoor areas.
Robert Van’t Hoff built Henny Villa in Huis-ter-Heide. Its geometric radicality earned it an international reputation.
Helene Kreller-Meller acquired Van der Leck’s work, which was verging on abstraction (simplified shapes, flat primary colours).


1917
Van Doesburg painted his first neoplastic Compositions using geometric grids as per Mondrian’s prescriptions. The first issue of the De Stijl Magazine was published in October. This magazine was published until 1932.


1918
Gerrit Rietveld fine-tuned his first Red Blue Chair.
Van Doesburg designed the colour scheme for De Dubbele Sleutel (a hotel and restaurant built by Wils) and the Bart De Ligt House (designed by Van’t Hoff). He also made the stained-glass windows for a housing development in Spangen polder in Rotterdam (built by Oud).
First De Stijl manifesto.


1919
Mondrian left for Paris.


1920
Van Doesburg, Mondrian’s host in Paris, met L’Effort Moderne Gallery director Leonce Rosenberg.
Second De Stijl manifesto, on literature.
Van Doesburg took on a nom de plume, I.K. Bonset, a Dadaist poet. Organised the La Section d’Or-Paris. Kubisten en Neo-Kubisten exhibition in Holland.
December 1920 to January 1921: Van Doesburg stayed in Germany, and visited the Bauhaus run by Walter Gropius in Weimar.


1921
Van Doesburg worked with architects full-time. His conception of colour as an agent to instil dynamics and de-structure architecture led Oud to break away from De Stijl.
Meeting with Tristan Tzara.
April 1921 to end-1922: Van Doesburg settled in Weimar. The magazine opened its doors to new authors including Hans Richter, Kurt Schwitters and Raoul Hausmann.
Third De Stijl manifesto: Towards a New World Plasticism.


1922
Van Doesburg lectured on De Stijl, parallel to Bauhaus.
Met Dutch architect Cornelis Van Eesteren, they started working closely together.


1923
Van Doesburg, Nelly Van Moorsel, Kurt Schwitters and Vilmos Huszer went on the “Dada Tour” in Holland.
Huszer and Rietveld presented a Space and Colour Composition for Exhibition for the Berlin Juryfreie Kunstschau.
October and November: Les Architectes du Groupe De Stijl exhibition at the L’Effort Moderne Gallery. Van Doesburg and Van Eesteren offered three projects for houses, which they called contra-constructions.


1924
Gerrit Rietveld and Truus Schreder-Schreder built the Schreder House, a genuine De Stijl architecture manifesto, in Utrecht.
Van Doesburg introduced diagonal lines in his paintings, and dubbed them counter-compositions. Parted ways with Mondrian.
Oud designed the Cafe De Unie in Rotterdam by De Stijl principles.
Van Doesburg and Van Eesteren signed the fifth De Stijl manifesto, Towards Collective Construction.


1925
Van Doesburg published Grundbegriffe der neuen gestaltenden Kunst and Mondrian Neue Gestaltung, Neoplastizismus, Nieuwe Beelding. Frederick Kiesler presented a scale model of City in Space, applying neoplastic principles, at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of Modern Industrial and Decorative Arts in Paris. Van Doesburg started revamping L’Aubette, a cafe in Strasbourg, with Hans Arp and Sophie Taeuber-Arp.


1928
Rietveld, a founding member of the Congres Internationaux d’Architecture Moderne (CIAM), signed the Sarraz Declaration with Le Corbusier and Sigfried Giedion. That text was later used to draft the Athens Charter in 1933.


1929
Van Doesburg built a home and studio in Meudon, France.
Van Eesteren was appointed chief engineer at the Amsterdam city council urban planning division.


1930
The Cercle et Carre group exhibition at Galerie 23 in Paris gathered about 50 artists including Vantongerloo and Arp. Mondrian and Michel Seuphor presented the Tableau-Poeme they had worked on together.
In a reaction to it, and to uphold radical abstraction, Van Doesburg launched the Art Concret Magazine.


1931
Auguste Herbin, Theo Van Doesburg and Jean H?lion founded the Abstraction-Creation group.
7 March: Van Doesburg died
Mondrian L'armonia perfetta

MDL (MONDRIAN DESIGN LAB) / 몬드리안 디자인 랩 / www.mondrian.co.kr _ 몬드리안 디자인 & 브랜드 런칭 네트워크 플랫폼 / Mondrian DB Network Platform
MDL 업무 / 몬드리안 디자인 & 브랜드 연구개발 & 몬드리안 브랜드 마케팅 런칭 협업제휴 / 패션잡화 & 쥬얼리 & 팬시 / 카페 & 레스토랑 & 콘도 & 호텔 & 아파트 등
MDL 운영사 / VSD(VOID SPACE DESIGN) / 대표 산업디자인학 박사 PH.D 김형진 /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467-10. 401호 / 02-577-7739 / monlab@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241-16-00276 / 제품기획 & 제품개발 & 제품디자인 / 공간기획 & 공간개발 & 공간디자인 / 지적재산권(특허권 & 저작권) 공유개발 / 브랜드 런칭 협업제휴

MONDRIAN DESIGN & BRAND / FASHION & JEWELRY & FANCY & CAFÉ & RESTRANT & CONDO & HOTEL & APPARTMENT & THEMEPARK

MDL이 보유하고 있는 몬드리안 상표권 및 저작권은
대한민국 특허청과 저작권위원회에 출원 등록되어 있는
배타적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는 고유한 지적재산권입니다

TOTAL LIFE STYLE & OSMU NETWORK BRAND

특허청한국저작권위원회